티스토리 뷰
반응형
주택경기 침체와 고금리 영향으로 인해 주택 공급이 대폭 감소하였습니다. 소형 주택의 수요도 종합부동산세, 재산세, 양도소득세 등으로 인해 감소하며 공급 역시 줄어들고 있습니다. 청년과 독신가구용 주택 공급 현황도 비슷한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1,주택경기 침체로 주택공급 대폭 감소
인허가·착공·분양·준공 실적 경기침체와 고금리 등에 따른 주택 수요 및 PF 자금조달 급감으로 주택 공급 실적이 크게 감소하다.
‘22년 주택 건설 실적은 ‘17 ~ ‘21년 연평균 실적 대비 크게 감소 |
• ‘22년 인허가 실적은 연평균 54만호 대비 3.3% 감소 • ‘22년 착공 실적은 연평균 52만호 대비 26.4% 감소 • ‘22년 분양 실적은 연평균 32만호 대비 9.8% 감소 • ‘22년 준공 실적은 연평균 실적 52만호 대비 20.9% 감소 |
23년 1 ~ 9월 주택 건설 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더욱 크게 감소 |
• 인허가 ‘22년 1 ~ 9월 38만호 → ‘23년 1 ~ 9월 26만호 (32.7% 감소) • 착공 ‘22년 1 ~ 9월 29만호 → ‘23년 1 ~ 9월 13만호 (57.2% 감소) • 분양 ‘22년 1 ~ 9월 18만호 → ‘23년 1 ~ 9월 11만호 (42.2% 감소) • 준공 ‘22년 1 ~ 9월 29만호 → ‘23년 1 ~ 9월 25만호 (12.5% 감소) |
2,주택유형별·규모별 공급 현황
소형 주택은 양도차익이 아닌 임대차익을 목적으로 하나, 종합부동산세·재산세·양도소득세 등 다주택자 중과 대상이 되면서 수요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공급도 급감하는 추세하다.
17년 이후 다가구주택 및 다세대주택 인허가 실적 크게 감소 |
• ‘17년 이후 다가구주택 연평균 25.0% 감소, 다세대주택 연평균 16.2% 감소 |
‘23년 1 ~ 9월 전체 주택 유형 중 다가구주택 및 다세대주택은 전년 동기 대비 급감 |
• 다가구주택 ’22년 1 ~ 9월 2.1만호 → ‘23년 1 ~ 9월 1만호, 53.1% 감소 • 다세대주택 ‘22년 1 ~ 9월 2.4만호 → ‘23년 1 ~ 9월 7천호, 70.5% 감소 |
17년 이후 40㎡ 이하 소형 주택 인허가 실적 연평균 18.4% 감소 |
• 40 ~ 60㎡‘17년15만호→ ‘22년 8만호, 연평균 12.1% 감소 |
‘23년 1 ~ 9월 40㎡ 이하 소형 주택 인허가 실적은 전체 주택 규모 중 3.4%에 불과 |
• ‘22년40㎡이하소형주택인허가실적은약2만호로전년동기대비60% 감소 |
3, 청년 등 독신가구용 주택 공급 현황
1,오피스텔 공급 현황(입주 가능 물량 기준. 연간 오피스텔 공급량은 ‘19년 최고치 이후 감소세 |
• 오피스텔 공급량은 ‘19년 약 11만실로 최고치를 달성 • 이후 지속 감소하여 ‘22년 공급량 약 5만실로 급감 (‘17년 ~ ‘21년 연평균 공급량 9만실 |
‘22년 60㎡ 이하 소형 면적 공급량은 ‘20년 대비 급감 |
• ‘22년 40㎡ 이하 소형 면적 공급량은 4만실로 ‘20년 대비 43% 감소 • ‘22년 40 ~ 60㎡ 면적 공급량은 6천실로 ‘20년 대비 59% 감소 |
‘23년 1 ~ 9월 오피스텔 공급량은 전년 동기 대비 67.1% 감소 |
• ‘23년 1 ~ 9월 오피스텔 공급량은 약 1.3만실로 전년 동기 약 3.9만실 대비 2.6만실 감소 • ‘23년 1 ~ 9월40㎡이하소형면적공급량은 전년동기대비68.1% 감소 |
도시형 생활주택 공급 현황 |
‘17년 이후 도시형 생활주택 공급량 감소추세 |
• ‘22년 도시형 생활주택 공급량은 약 3만호로 ‘17년 ~ ‘21년 연평균 도시형 생활주택 공급량 약 5만호 대비 60% 수준 |
‘23년 1 ~ 9월 도시형 생활주택 공급량은 전년 동기 대비 73.6% 감소 |
• ‘22년 1 ~ 9월 도시형 생활주택 공급량 약 2만호인 반면, • ‘23년 1 ~ 9월 도시형 생활주택 공급량 약 6천호로 급감 • 단지형 연립, 단지형 다세대, 소형 주택 모두 70% 이상 감소 |
청년 등 독신가구용 주택재고 현황과 추이 |
‘17년 이후 소형 주택의 연평균 재고 증가량은 1인가구 증가에 미치지 못함 |
• ‘17년 이후 소형 주택 재고 연평균 증가율은 -5.9%로 감소 추세인 반면, 1인가구 연평균 증가율은 6.0% • 소형 주택 재고 증가량은 연평균 28만호, 1인가구 증가 수는 연평균 37만 • 소형 주택 재고 증가량은 1인가구 증가의 76% 수준으로 약 9만호가 부족 • 특히 1인가구가 주로 거주하는 다세대주택, 다가구주택, 오피스텔, 도시형 생활주택 연평균 재고 증가량은 16만호에 불과 |
**자료 출처: 주택 산업 연구원
반응형
'부동산과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신가구용 주택공급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 (0) | 2023.12.09 |
---|---|
독신 가구용 주택 공급 부족의 문제점 (0) | 2023.12.09 |
2023년 종부세 합산 배제와 과세 특례 : 신청, 취소, 그리고 세금 절약 전략 (0) | 2023.12.07 |
300만원 초과, 종부세 분납 가능 여부 파악하기. 12월 15일까지 신청하세요. (0) | 2023.12.07 |
상속과 세금: 상속인의 순위가 미치는 영향 및 선순위 상속인의 중요성 (0) | 2023.12.07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