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이 글은 임대인 위해 주택 매매 시 발생한 중대한 하자에 대한 손해배상과 계약 해제 가능 여부를 설명합니다. 잔금일 이후 6개월 동안만 매도인에게 책임이 있다는 오해를 해소하고, 실무와 법적 측면에서 정확한 하자담보책임 조건을 안내합니다.

 

 

😰 오늘(17일)부터 주담대 변동금리 최소 0.16%p씩 일제히 올랐어요! 코픽스가 올해 들어 가장 크게 인상됐기 때문입니다!...더보기 👇
https://zaritalk.com/community/post/91158?utm_term=-1
😰 오늘(17일)부터 주담대 변동금리 최소 0.16%p씩 일제히 올랐어요! 코픽스가 올해 들어 가장 크게 인상됐기 때문입니다!...더보기 👇 https://zaritalk.com/community/post/91158?utm_term=-1

 

 

목차:

1. 매도인의 하자담보책임 이해하기

2. 하자담보책임 청구의 4가지 조건

3. 잔금일로부터 6개월 동안만 매도인에게 책임이 있다는 오해 바로잡기

4. 분쟁 예방과 특약 작성의 중요성

 

1. Q: 매도인의 하자담보책임이란 무엇인가요?

 

A: 매도인의 하자담보책임은 주택 매매 이후 발견된 중대한 하자에 대해 매수인이 손해배상을 청구하거나 계약을 해제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누수, 균열, 외관 비틀림‧붕괴 등의 중대한 하자가 있을 경우 이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경우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며 특정 조건에서만 가능합니다.

 

 

주택 매매 이후 발견한 하자, 누구 책임일까? 매도인의 하자 담보 책임 조건 설명

 

 

 

 

2. Q: 하자담보책임을 청구하기 위한 조건은 무엇인가요?

 

A: 청구하기 위해서는 4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 첫째, 유효하게 성립된 매매 계약이어야 합니다. 즉 법적으로 문제없이 마무리된 매매 계약에 대해서만 적용됩니다.

- 둘째, 매매 계약 시점에 이미 존재하고 있던 하자여야 합니다. 거래 후에 새롭게 발생한 하자는 해당되지 않으며 판례에서도 계약 체결일과 잔금일 사이의 기간에 이미 존재하던 하자일 경우에만 매도인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 셋째, 과실행위 없이 매수인이 계약 당시에 하자를 알지 못했어야 합니다. 만약 본인 과실행위로 인하여 파악하지 못했다면 이는 제외됩니다.

-넷째, 상기 모든 조건들과 별개로 중요한 것은 "시간"입니다. 바로 발견 후 6개월 이내에 손해배상을 청구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주택 매매 이후 발견한 하자, 누구 책임일까? 매도인의 하자 담보 책임 조건 설명

 

 

3. Q: 잔금일로부터 6개월 동안만 매도인에게 책임이 있다는 것은 정확한 정보인가요?

 

A: 아니요, 그렇지 않습니다. 이는 잘못된 인식으로, 하자를 발견한 지 6개월 이내에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는 사실이 잘못 전달된 것입니다. 실무 현장에서는 잔금일로부터 6개월까지의 기간을 하자담보책임을 물을 수 있는 실질적인 기간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지만 법적으로 정확한 내용은 아닙니다.

 

 

주택 매매 이후 발견한 하자, 누구 책임일까? 매도인의 하자 담보 책임 조건 설명

 

 

4. Q: 법적 분쟁 없이 자신들의 권리와 책임을 보호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A: 분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계약서 작성 과정에서 관련 특약을 기재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각 당사자들은 법적 분쟁 없이 자신들의 권리와 책임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도인은 '건물에 하자가 없음'이라고 명시하거나 매수인은 '매수 후 발견되는 하자에 대해 매도인이 책임' 등의 내용을 특약으로 추가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