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부동산과 경제 공부로 '현금 흐름, 500만'을 꿈꾸는 머니 오백 연구소 팀장입니다.

 

 

안녕하세요, 머니500 연구소입니다! 지난 주 올린 '2025년 임대사업자 양도세 비과세' 글 보셨나요? 오늘은 약속드린 대로 실제 사례와 구체적인 숫자로 성공과 실패 케이스를 분석해보겠습니다.

 

이 글을 읽으면 알 수 있는 것:

  • 양도세 1억 2천만원을 0원으로 만든 실제 사례
  • 단 하루 차이로 8천만원 날린 실수
  • 엑셀로 직접 계산하는 방법

 

 


 

성공 사례 1: 강남 아파트 임대사업자 박대표의 1.2억 절세

 

기본 정보

  • 인물: 박대표(45세), IT기업 대표
  • 보유 주택: 강남구 래미안 34평 (2015년 매입)
  • 매입가: 8억원
  • 양도가: 15억원 (2025년 10월)
  • 양도차익: 7억원

 

전략 실행 과정

 

[2015년 - 2020년: 임대사업 기간]

2015년 3월 1일: 아파트 매입 (8억) 2015년 4월 1일: 임대사업자 등록 (지자체+세무서) 2015년 5월 1일: 첫 임차인 입주 (월세 300만원)

[2020년 - 2022년: 거주주택 전환]

2020년 5월 1일: 임차인 퇴거 2020년 6월 1일: 본인 입주 (거주 시작) ← 핵심 타이밍! 2022년 6월 1일: 2년 거주 완료

[2022년 - 2025년: 새집 이사 및 양도]

2022년 7월 1일: 새 아파트 매입 후 이사 2025년 10월 1일: 기존 아파트 양도

 

세금 계산 비교

 

일반 양도 시

  • 양도차익: 7억원
  • 장기보유공제: 2.8억원 (40%)
  • 과세표준: 4.2억원
  • 세율: 40%
  • 양도세: 1.68억원
  • 지방소득세: 1,680만원
  • 총 납부세액: 1.85억원

 

비과세 적용 시

  • 양도차익: 7억원
  • 과세표준: 0원
  • 총 납부세액: 0원

절세 효과: 1억 8,500만원

 

성공 포인트 분석

 

  1. 5년 이상 임대사업 성실 수행
  2. 거주주택 전환 후 정확히 2년 거주
  3. 임대료 5% 제한 철저히 준수
  4. 모든 서류 완벽 보관

 

성공 사례 2: 지방 신도시 김부장의 전략적 타이밍

 

기본 정보

  • 인물: 김부장(52세), 대기업 임원
  • 보유 주택: A주택(판교 아파트-거주용), B주택(동탄 아파트-임대용)
  • 전략: 순차적 양도로 비과세 극대화

 

타임라인과 전략

[Phase 1: 거주주택 양도]

2023년 12월 1일: 판교 아파트(거주) 양도

  • 매입가: 6억 → 양도가: 10억
  • 양도차익: 4억
  • 납부세액: 0원 (1세대 1주택 비과세)

 

[Phase 2: 임대주택 → 거주주택 전환]

2023년 12월 15일: 동탄 아파트로 이사 2024년 1월 1일: 거주 시작 (주민등록 이전) 2025년 11월 현재: 1년 11개월 거주 중 2026년 1월 1일: 2년 거주 완료 예정

 

예상 세금 계산 (2026년 양도 시)

동탄 아파트 양도 예상:

  • 매입가: 4억 (2018년)
  • 예상 양도가: 7억 (2026년)
  • 양도차익: 3억

비과세 적용 계산:

  • 전체 보유기간: 8년 (2018-2026)
  • 비과세 기간: 2년 (2024-2026)
  • 비과세 비율: 25%
  • 과세 대상: 3억 × 75% = 2.25억

절세 효과:

  • 일반 양도세: 약 9,000만원
  • 비과세 적용 후: 약 6,750만원
  • 절세액: 2,250만원

실패 사례: 단 하루 차이로 8천만원 날린 최사장

 

기본 정보

  • 인물: 최사장(48세), 자영업자
  • 실수 내용: 거주기간 하루 부족
  •  

타임라인 (실패 지점 표시)

2020년 1월 1일: 임대사업자 등록 2021년 6월 15일: 임차인 퇴거 2021년 7월 1일: 본인 입주 2023년 6월 29일: 새집으로 이사 ← 치명적 실수! 2023년 6월 30일: 전입신고 (2023년 7월 1일이 2년 차 되는 날) 2025년 3월 1일: 기존 주택 양도

 

실수 분석

문제점:

  • 2021년 7월 1일 ~ 2023년 6월 29일 = 729일 (2년 미달!)
  • 필요 기간: 730일 (2년)
  • 부족: 단 1일

 

세금 폭탄 계산

비과세 가능했다면

  • 양도차익: 5억
  • 최종 세금: 0원

 

실제 납부

  • 양도차익: 5억
  • 장기보유공제: 1.5억 (30%)
  • 과세표준: 3.5억
  • 세율: 38%
  • 최종 세금: 1.33억

손실액: 1억 3,300만원

 

실패 원인 분석

  1. 정확한 날짜 계산 실수
  2. 전문가 상담 없이 진행
  3. 서두른 이사 결정

직접 계산하는 양도세 시뮬레이터

STEP 1: 양도차익 계산

양도가액 - 취득가액 - 필요경비 = 10억 - 6억 - 2천만원 = 3.8억

STEP 2: 비과세 비율 계산

MIN(거주기간, 2년) ÷ 전체보유기간 = 2년 ÷ 8년 = 25%

STEP 3: 과세대상 금액

양도차익 × (1 - 비과세비율) = 3.8억 × 75% = 2.85억

STEP 4: 최종 세액

(과세대상 - 장기보유공제) × 세율 = (2.85억 - 0.855억) × 35% = 약 7,000만원


실전 체크리스트

양도 전 3개월

  • 거주기간 일자 단위로 재확인
  • 임대사업 의무기간 확인
  • 필요 서류 리스트 작성

양도 전 1개월

  • 세무사 상담 및 시뮬레이션
  • 증빙서류 완비 확인
  • 양도세 예상액 준비

양도 당일

  • 계약서 특약사항 확인
  • 잔금일 세금 정산 방법 합의
  • 신고 기한 확인 (2개월 내)

전문가 TIP: 흔한 실수 TOP 3

  1. "대략 2년" 착각
    • 잘못됨: "2021년 7월 ~ 2023년 6월면 2년이지"
    • 정답: 정확히 730일 이상 계산 필수
  2. 서류 미비
    • 잘못됨: "주민등록등본만 있으면 되겠지"
    • 정답: 전기/가스 요금, 관리비 영수증 모두 보관
  3. 임대료 증액 실수
    • 잘못됨: "한 번쯤 5% 넘어도 괜찮겠지"
    • 정답: 단 한 번이라도 위반 시 비과세 불가

함께 읽으면 좋은 글

[기본개념편] 2025년 11월 최신 법령 정리 → 지난 주 포스팅 참조

 

[스토리편] 할아버지가 쉽게 설명하는 양도세 → 다음 주 공개 예정! "손자야, 세금 계산기 두드리지 말고 이것만 기억해"


오늘의 한 줄 조언 "양도세 비과세는 '대략'이 없습니다. 단 하루, 단 1원도 정확하게!"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