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부동산과 경제공부로 월 500 현금흐름을 만들어가는 '머니500연구소' 팀장입니다!

환영합니다!
부자 할아버지의 경제교실입니다.뉴스에 나오는 경제 용어, 아는 척하고 넘기셨죠? 이제 제대로 배울 시간입니다.
100일 동안 하루 5분씩, 할아버지가 손주에게 이야기하듯 쉽고 재미있게 경제 용어 100개를 정복합니다.
어렵지 않아요. 할아버지의 생생한 경험담과 함께하면 경제 공부가 즐거워집니다.
경제를 알면 돈이 보입니다. 자, 우리 함께 경제적 자유를 향해 오늘부터 시작해요!
할아버지의 경제 이야기 - 2일차
토요일 오후, 할아버지가 손주들과 함께 짜장면을 먹으며 이야기를 시작하셨다.
"민수, 지혜야, 이 짜장면이 얼마인지 아니?"
"8,000원이요!" 지혜가 대답했다.
"그래, 근데 할아버지가 너희 나이 때는 500원이었단다."
"헉! 정말요?"
할아버지는 웃으며 말씀하셨다.
"이게 바로 인플레이션이야. 시간이 지나면서 물건값이 계속 오르는 현상이지. 영어로는 Inflation, 우리말로는 물가상승이라고도 해."
할아버지의 추억 속 인플레이션
"1980년대 초반에 말이야, 할아버지가 회사 다닐 때였어."
할아버지는 옛 생각에 잠기셨다.
[실제 사례: 1980년 오일쇼크]
"1980년에 우리나라 인플레이션율이 **28.7%**였어. 무슨 뜻인지 아니? 10,000원짜리 물건이 1년 뒤엔 12,870원이 된다는 거야."
출처: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1980년 소비자물가상승률 28.7%
"그때는 월급날 받자마자 쌀, 라면, 설탕부터 샀단다. 다음 달엔 더 비싸질 테니까. 은행에 돈 넣어두면 오히려 손해였어. 이자가 물가상승률을 못 따라갔거든."
최근의 인플레이션
[실제 사례: 2022년 글로벌 인플레이션]
"너희도 느꼈지? 2022년에 모든 게 비싸졌잖아."
민수가 고개를 끄덕였다. "맞아요, 학교 앞 김밥이 3,000원에서 4,000원 됐어요."
"그해 한국 인플레이션율이 **5.1%**였어. 미국은 **8%**가 넘었고.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기름값, 밀가루값이 폭등했지."
출처: 통계청 소비자물가지수, 2022년 연간 소비자물가상승률 5.1%
"한국은행이 그래서 금리를 올렸단다. 인플레이션을 잡으려고 말이야."
지금은 어때? (2025년 11월)
"할아버지, 지금도 물가가 많이 오르고 있어요?"
지혜가 궁금해했다.
"좋은 질문이야! **2025년 10월 기준으로 우리나라 인플레이션율은 2.4%**야. 작년 9월 2.1%에서 조금 올랐지."
2025년 10월 한국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2.4% 상승했다
"2.4%면 괜찮은 거예요?"
"그래, 한국은행 목표치가 2%인데, 거의 근접했지. 2022년 5.1%에 비하면 많이 안정됐어."
출처: 통계청 2025년 10월 소비자물가동향, 전년동월대비 2.4% 상승
"하지만 여전히 신경 써야 해. 전문가들은 2025년 한국 인플레이션이 1.9~2.0% 수준으로 안정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지만, 트럼프 2기 정부의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공급망 리스크가 재발하면 인플레이션이 다시 부각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
"지혜야, 만약 네가 100만원을 침대 밑에 숨겨둔다면?"
"1년 뒤엔... 100만원이지만 살 수 있는 건 줄어들겠네요?"
"정확해! 인플레이션이 2.4%라면, 네 100만원의 가치는 실제로 97만 6천원이 되는 거야."
할아버지는 진지하게 말씀하셨다.
"그래서 돈을 그냥 두면 안 돼. 투자를 하든, 자산을 사든, 인플레이션보다 높은 수익을 내야 해. 이게 부자들의 비밀이란다."
적당한 인플레이션은 필요해
"그런데 인플레이션이 아예 없으면 좋을까?"
민수가 물었다. "그럼 물건값이 안 오르니까 좋지 않아요?"
"아니야. 일본이 1990년대부터 20년간 디플레이션을 겪었어. 물가가 계속 떨어지니까 사람들이 소비를 안 해. '내일 더 싸질 텐데 왜 오늘 사?' 이렇게 생각하는 거지. 경제가 죽어버렸단다."
"연 2% 정도의 인플레이션이 건강한 경제라고 해. 적당히 오르면 사람들이 소비도 하고, 기업도 투자하거든."
할아버지의 조언
"민수, 지혜야, 꼭 기억해라."
"1. 현금만 들고 있으면 인플레이션에 진다 2. 월급 인상률이 인플레이션보다 높아야 실질소득이 는다
3. 대출이 있으면 인플레이션이 유리할 수도 있다 (돈의 가치가 떨어지니까) 4. 자산(부동산, 주식)은 대체로 인플레이션을 이긴다"
할아버지는 마지막으로 덧붙이셨다.
"인플레이션을 무서워하지 말고, 이해하고 활용해라. 그게 경제적 자유로 가는 길이란다."
오늘의 핵심 정리:
- 인플레이션 = 물가가 지속적으로 오르는 현상
- 1980년 한국 28.7% (오일쇼크) - 한국은행
- 2022년 한국 5.1% (우크라이나 전쟁) - 통계청
- 2025년 10월 현재 2.4% - 통계청
- 2025년 전망: 1.9~2.0% 예상 - PWC 경제전망
- 적정 인플레이션은 연 2% 수준
- 현금보다 자산이 인플레이션을 이기는 방법

'부동산과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임대사업자 등록 말소 조회 3가지 방법 - 2025년 11월 (3) | 2025.11.13 |
|---|---|
| [2025년 11월 최신] 임대사업자 거주주택 양도세 비과세 완벽정리 - 개정세법 확정판 (0) | 2025.11.12 |
| 보이스피싱 010번호 사칭 5가지 수법 - 2025년 11월 AI 딥페이크 음성 구별법과 즉시 대응 방법 (0) | 2025.11.11 |
| 3부"살아남는 법 - 2026 대응 전략" 자금 조달 계획서 작성부터 보유세 절세까지 (0) | 2025.11.11 |
| 부자 할아버지의 경제 교실: Day 1. GDP - 할아버지가 손주에게 들려주는 1997년 IMF 이야기 (0) | 2025.11.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