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사업은 청년 일자리 창출과 중소기업근로자의 주거비 부담 경감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청년, 창업인, 지역전략산업 종사자, 중소기업산단기업 근로자 등의 일자리 계층을 대상으로 저렴한 임대료로 공공주택을 공급합니다. 이 사업은 무주택자로서 소득자산 기준 요건을 갖춘 청년, 신혼부부, 한부모가족, 장기근속자 등을 우선적으로 대상으로 하며, 임대료는 소득 수준에 따라 결정됩니다.

 

 

 

** 참고 보도자료입니다. 이 자료를 통해 구체적이고 자세한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231221(석간)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사업 총 570호 선정(공공주택정책과).pdf
0.58MB

 

 

1,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의 개념 및 특징]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은 청년 일자리 창출, 중소기업근로자 및 전략산업 종사자의 주거비 경감,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위한 일자리 맞춤형 공공주택입니다. 이 주택의 공급대상은 청년, 창업인, 지역전략산업 종사자, 중소기업산단기업 근로자 등 일자리 계층으로, 저렴한 임대료로 지원시설 등과 연계하여 공급됩니다. 공급대상 중에서도 청년, 신혼부부, 한부모가족 또는 장기근속자로서 무주택자, 주택유형별 소득자산 기준 요건을 갖춘 자가 자격요건에 해당합니다. 임대료는 행복주택의 경우 인근 시세의 72~80%, 통합공공임대 주택은 소득 수준에 따라 인근 시세의 35~90%로 공급됩니다. 또한, 입주자 선정 시에는 지역 수요여건 등이 충분히 고려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의 장에 재량권이 부여됩니다. 이렇게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사업은 다양한 계층의 주거 안정과 일자리 창출을 동시에 추구하며, 지역 경제의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2,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사업 도입 및 비전]

 

국토교통부 장관 원희룡은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사업을 통해 청년과 중소기업 근로자 등에게 저렴한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여 주거비 부담을 경감하고, 중소기업의 일자리 창출 및 장기근속을 유도하는 비전을 제시하였습니다. 이 사업은 지난 9월부터 약 2개월간 실시되었고, 현장조사, 제안발표, 전문가 종합평가 등을 통해 사업 대상지로 경기 부천, 강원 횡성, 충북 영동, 전남 고흥 등 총 570호가 선정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금년도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은 상반기에 선정한 2,452호를 포함하여 총 3,022호를 공급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최근 2년간의 평균 공급량 대비 약 30% 증가한 수치입니다.

 

 

3, [사업 진행 및 미래 전망]

 

선정된 지역은 지방재정 투자심사, 실시설계 등의 행정절차를 거쳐 주택건설 사업계획 승인 및 착공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 중 일부 지역은 이미 착공을 시작하였고, 나머지 지역들은 2024년 착공을 예정하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이러한 절차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하였습니다. 또한, 2024년에는 4천 호 이상의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관심 있는 지자체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사업은 더욱 확대되고, 청년과 중소기업 근로자 등의 주거비 부담 경감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전망입니다.

 

 

 

 

※함께 읽으면 유익한 글

https://rainy200000.tistory.com

 

 

지방세 외 수입, 광역 지자체는 90% 이상 징수…자치구는 어떻게 해결할까?

지방세 외 수입 징수율에 대한 행정안전부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광역지자체의 징수율은 90% 이상으로 우수한 반면, 자치구의 징수율은 67.9%로 상대적으로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a.paris15000.com

 

https://rainy200000.tistory.com

 

 

공무원 경력 채용 확대: 9급에서 3급까지 승진 기간 단축 및 성과와 다 자녀 우대로 새로운 패러

이 글은 최근 통과된 공무원 임용령 개정안에 대해 설명합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공무원이 9급에서 3급으로 승진하는 데 필요한 최소 근무 연수가 16년에서 11년으로 단축되고, 성과와 역량이 우

a.paris15000.com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