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부동산과 경제 공부로 '현금 흐름, 500만'을 꿈꾸는 머니오백연구소팀장, 해뜬날입니다.
여러분, 월급 128만 원 받던 평범한 직장인이 어떻게 23억 자산을 만들었을까요? 🤔 비결은 7평, 13평 같은 초소형 아파트였어요! "소형 아파트는 투자 가치 없다"는 편견을 깨고 17년간 꾸준히 투자해서 지금은 7채를 보유하고 월 250만 원의 현금흐름을 만들고 있답니다. 💰 저축금 1억만 있어도 시작할 수 있는 실전 노하우를 지금 바로 공개할게요! ✨
◆ 출처 자료 바로가기 ◆
https://youtu.be/Wy_H5Dx2MCI?si=1xj5quEwGKYLSSyS
📊 초소형 아파트 투자 핵심 전략
구분 핵심 내용
💰 투자 성과 | 17년 투자로 순자산 23억 원 달성 ✨ 총 7채 보유(7평~29평) 월 현금흐름 250만 원(월세+배당) 시세차익만 22억 원 🔥 |
📈 실제 수익 | 송파 헬리오시티 18평: 1년새 4억 상승 💪 7평 도시형: 1억 6,000만 원 → 3억 4,000만 원(10년) 광명 뉴타운 20평: 1년새 1억 상승 |
🎯 저축금별 전략 | 1억 원: 서울 도봉구 3억대 아파트 ✅ 1억 5,000만 원: LTV 활용 5억 아파트 가능 4억 원: 광명 뉴타운 8~9억 신축 진입 |
⚠️ 핵심 교훈 | 순자산 변동 23억(2021) → 17억(2023) → 23억(2025) 무리한 대출 금물(2008년 리먼 사태 교훈) 타이밍 기다리면 반드시 기회 온다 ⏰ |
🚀 지금 바로 시작 가능한 실전 가이드
지역 투자 포인트
🏙️ 서울 도봉구 창동 주공 | 16평 3억 중반 💰 저축금 1억 원이면 시작 가능 ✅ 아직 갭 메우지 못한 구축 아파트 많음 도봉구 전역 저평가 매물 존재 📍 |
🏘️ 광명 뉴타운 14~16구역 |
25평 8억~9억 초반 🏠 자금 4억 + LTV로 진입 신혼부부 맞벌이 가능 💪 철산역 자이보다 저렴한 입주 완료 신축 |
🏡 광명 하안동 | 25평 5억대 💎 가장 낮은 진입 가격 ⭐ 핵심지 상승 후 순차 상승 기대 임장객 증가 중 🔥 |
💸 대출 활용법 | 본인 자금 1억 5,000만 원 + LTV 70% 대출 3억 5,000만 원 = 5억 원 아파트 매수 가능 ✅ 부담되면 3억대로 눈높이 조절 |
🎯 성공 3단계 | 1단계: 13평~20평 소형부터 작게 시작 📚 2단계: 종자돈 모으며 타이밍 기다리기 ⏰ 3단계: 실행력이 답이다 💪 경험이 다음 투자 안목 만듦 |
🏠 작은 평수로 시작해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요즘 강남 3구와 마포, 용산, 성동구의 집값 상승을 보면서 이미 자가를 보유한 사람들조차 심각한 박탈감을 느끼고 있어요. 하지만 17년간 초소형 아파트만으로 투자해온 한 투자자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희망이 보입니다. 현재 7채의 초소형 주택을 보유하고 있으며, 총 자산은 43억 5천만 원, 순자산은 23억 원에 달해요. 보유 중인 주택은 7평, 14평, 17평, 18평, 21평, 29평 등 모두 소형 평수이지만 월세 소득 110만 원과 주식 배당금 140~150만 원을 합쳐 매달 250~260만 원의 현금 흐름을 만들어내고 있답니다.
💡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시세차익이에요. 총 22억 원의 시세차익을 얻었는데, 이 자산의 대부분은 월급에서 저축한 돈이 아니라 초소형 아파트의 시세 상승으로 형성된 거예요. 첫 직장 연봉이 1,600만 원으로 실수령액 128만 원이었고, 22년 직장생활 동안 대부분 100~200만 원대 월급을 받았던 평범한 직장인이었어요. 5,000만 원으로 1억 2,800만 원짜리 13평 아파트를 시작으로 작게 투자를 시작했지만, 지금은 총 자산 45억 원, 순자산 23억 원을 이루었답니다.
💰 실제 수익 사례로 본 초소형 아파트의 가능성
송파구 가락동 헬리오시티 18평은 올 연초 13억 원대에 거래되다가 최근 17억 원대에 거래되면서 1년도 안 돼서 4억 원이나 상승했어요. 광명 뉴타운 20평도 1년 사이 1억 원 상승했고, 심지어 구미시 같은 지방 도시에서도 신축 아파트가 신고가를 경신했답니다. 사람들이 투자를 꺼리는 지역인 구미에서도 순거주 수요만으로 신고가가 나온 거예요.
🎯 가장 놀라운 사례는 7평짜리 도시형 생활주택이에요. 2014년 1억 6,000만 원에 매수했던 집이 작년에 3억 4,000만 원에 거래됐어요. 10년 만에 1억 8,000만 원의 시세차익을 얻은 거죠. 이 집을 매수한 사람은 싱글 1인 가구였는데, 전세사기 피해를 우려해서 대출을 받아서라도 자가를 마련하려는 수요가 있었어요. 서울의 원룸 월세가 90만 원인데, 대출 이자를 내는 게 월세보다 저렴하니까 집값 상승률을 포기하더라도 안정적인 주거를 위해 매수한 거랍니다.
⚠️ 투자 시 반드시 기억해야 할 교훈들
2008년 첫 집을 마련했을 때도 1년 사이 집값이 2배나 폭등했던 시기였어요. 그때 박탈감이 심해서 앞뒤 재지 않고 갭투자를 했는데, 잔금을 치르고 2달 뒤 리먼 사태가 터지면서 서울 집값이 대폭락했답니다. 🔥 당시 저금리 시대라서 2금융권 대출까지 손을 댔던 사람들은 대출 이자 부담을 감당하지 못해 모두 투자 시장에서 떠났어요.
📈 자산 변동 추이를 보면 시장의 흐름을 알 수 있어요. 2021년 순자산 23억 원 → 2023년 17억 원으로 하락 → 2025년 현재 23억 원으로 회복. 이처럼 집값은 급등과 급락을 반복한답니다. 그래서 절대 준비도 안 된 상황에서 소득에 비해 무리한 대출을 받으면 투자를 길게 이어나갈 수 없어요. 종자돈을 열심히 저축하면서 기다리면 반드시 투자할 타이밍이 오더라고요.
🎓 소득이 낮아도 시작할 수 있는 실전 전략
서울 도봉구 창동주공 4단지 16평이 현재 3억 중반이면 살 수 있어요. 2007년 7,000만 원이었던 이 아파트가 2008년 1억 6,000만 원으로 뛰었고, 지금은 3억대예요. 저축한 돈 1억 원 정도면 충분히 접근 가능한 가격이죠. 💪
광명 뉴타운을 예로 들어볼게요. 철산역 자이 12구역 33평 분양가가 15억 7,000만 원으로 엄청 비싸지만, 바로 옆 14구역과 15구역은 25평이 9억 초반, 16구역은 8억까지 형성돼 있어요. 철산역 자이 25평 분양가가 11억이 넘는데, 눈을 조금만 돌리면 8~9억대 신축 아파트를 살 수 있답니다. 신혼 부부가 자금 4억 원 정도 모으면 충분히 가능한 금액이에요.
💸 LTV 대출 활용 예시: 저축한 돈 1억 5,000만 원 + LTV 70% 대출 3억 5,000만 원 = 5억 원짜리 아파트 매수 가능. 원리금 상환이 부담된다면 서울 도봉구 3억대 아파트나 광명 하안동 25평 5억대 아파트로 눈을 낮추면 돼요. 지금 갭을 메우지 못한 구축 아파트들이 서울 곳곳에 굉장히 많이 있어요.
🚀 첫 투자가 성공적인 투자의 징검다리가 됩니다
30억~40억대 자산을 이룬 사람들도 처음부터 돈을 많이 벌어서 큰 집을 산 게 아니에요. 빌라 원룸에서 신혼 생활을 시작해서 지금 강남 아파트를 소유하고 있는 사람도 있답니다. 첫 투자로 큰 수익을 못 낼 수도 있어요. 실제로 7평짜리 도시형 생활주택은 수익률로 따지면 실패한 투자였지만, 이 경험 덕분에 다음 투자에서 정말 투자 가치 높은 아파트를 매수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른 거예요. ✨
실행을 하면 부동산 보는 시야가 확 달라지고, 경험이 쌓이면 좋은 타이밍을 잡을 수 있어요. 경험이 없으면 좋은 타이밍이 와도 그게 돈 벌 타이밍인지 구분할 수 있는 눈이 없답니다. 급등하는 신축 아파트, 핵심지 아파트 말고 조금 눈을 낮추면 아직도 시세를 회복하지 못한 구축 아파트들과 소형 아파트들이 많아요. 13평, 18평, 20평 소형 아파트를 자가로 작게 시작해서 차근차근 불려나가는 것도 충분히 가능한 전략이랍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