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부동산과 경제공부로 월 500 현금흐름을 만들어가는 '머니500연구소' 팀장입니다!

환영합니다!
부자 할아버지의 경제교실입니다.뉴스에 나오는 경제 용어, 아는 척하고 넘기셨죠? 이제 제대로 배울 시간입니다.
100일 동안 하루 5분씩, 할아버지가 손주에게 이야기하듯 쉽고 재미있게 경제 용어 100개를 정복합니다.
어렵지 않아요. 할아버지의 생생한 경험담과 함께하면 경제 공부가 즐거워집니다.
경제를 알면 돈이 보입니다. 자, 우리 함께 경제적 자유를 향해 오늘부터 시작해요!
할아버지의 경제 이야기 - 6편
일요일 오후, 할아버지가 손주들과 함께 뉴스를 보고 계셨다.
"할아버지, 저번에 인플레이션 배웠잖아요. 물가가 계속 오른다고요. 그럼 물가가 내려가면 좋은 거 아니에요?"
민수가 궁금한 듯 물었다.
"아, 그게 바로 오늘 할아버지가 이야기해줄 디플레이션이란다. 영어로 Deflation, 물가가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현상이지."
할아버지는 잠시 생각에 잠기셨다.
"얼핏 들으면 좋은 것 같지? 물건이 싸지니까. 하지만 디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보다 더 무서운 경제 괴물이란다."
일본 이야기 - 잃어버린 30년
"할아버지가 1990년대 초반, 일본 출장을 자주 갔었어. 그때 일본은 세계에서 가장 부자 나라였지. 도쿄 땅값이 미국 전체 땅값보다 비쌌다니까."
"헉, 정말요?"
"그런데 1991년부터 일본에 이상한 일이 벌어졌단다. 부동산 버블이 터지면서 물가가 계속 떨어지기 시작했어."
[실제 사례: 일본의 잃어버린 30년]
"1990년대 초 일본 닛케이 주가지수가 3만9천 선이었는데, 2003년에는 7천 선까지 폭락했어. 부동산 가격도 똑같이 떨어졌지."
출처: 나무위키 - 잃어버린 10년
할아버지는 창밖을 바라보며 말씀하셨다.
"1986년의 1엔이 1992년에는 1.12엔의 가치가 있었는데, 그 1992년의 1엔이 거의 30년이 지난 2021년에는 1.06엔도 안 됐어. 30년 동안 물가가 거의 그대로였다는 거야."
잃어버린 10년/일본
버블을 통해서 " 공짜 점심은 없다 ", " 무에서 유를 창조 할 수는 없다"는 경제의 대원칙이 재확인됐다. 버블
namu.wiki
디플레이션, 왜 무서울까?
지혜가 고개를 갸웃거렸다. "할아버지, 그래도 물건값이 안 오르면 좋은 거 아니에요?"
"그게 함정이란다. 디플레이션이 시작되면 이런 일이 벌어져:"
1. 소비 지연 "오늘 100만 원짜리 TV를 살까? 아니야, 다음 달엔 95만 원이 될 거야. 그때 사자." → 사람들이 소비를 미룸
2. 기업 매출 감소 소비가 줄어드니 → 기업들이 돈을 못 벌어 → 직원을 자르고 월급을 깎음
3. 실업 증가와 소득 감소 월급이 줄어드니 → 사람들이 더욱 소비를 안 함 → 경제가 더 나빠짐
4. 악순환의 고리 "이게 계속 반복되는 거야. 마치 소용돌이에 빠진 것처럼 말이야."
일본이 겪은 고통
"일본 1인당 국민소득이 1989년에 세계 최고 4만5천 달러였는데, 30년이 지난 2022년에도 4만 달러 수준이야. 한국이 3만 달러대에서 이미 추월했지."
"그동안 미국은 몇 배로 성장했는데, 일본은 제자리걸음이었단다. 청년들은 취업이 안 돼서 비정규직으로 떠돌고, 회사는 월급을 안 올려주고..."
민수가 놀라며 말했다. "그럼 30년 동안 월급이 안 올랐다는 거예요?"
"그래. 2020~2021년에는 마이너스 물가상승률을 기록했어. 극심한 디플레이션이었지."
출처: 경향신문 - 일본 경제 '잃어버린 30년' 탈출 기로
일본 경제 ‘잃어버린 30년’ 탈출 기로…한국 경제 시사점은
장기 침체에 빠져있던 일본 경제가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일본 증시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물가상승률도 3년 연속 2%대를 기록하면서 1990년대 자산 거품 붕괴 이후 장기 침체에 빠
www.khan.co.kr
2025년, 일본의 디플레이션 탈출 노력
"그런데 최근 몇 년 사이 일본이 변하기 시작했어."
[2024-2025년 일본 경제]
"2024년 일본은 물가상승률이 **3.1%**를 기록했어. 4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지. 2025년에도 2.0~2.9% 수준을 유지하고 있단다."
출처: KOTRA - 트럼프 2.0과 임금 상승이 핵심인 2025년 일본 경제
"일본은행도 2024년 3월에 17년 만에 금리를 인상했고, 닛케이 주가는 4만 선을 돌파했어. 드디어 디플레이션 터널에서 빠져나오려는 거지."
출처: 한국은행 - 2025년 일본경제 전망 및 주요 이슈
2025년 일본경제 전망 및 주요 이슈 | 국내연구자료 |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한국은행은 2025년 일본경제 전망 및 주요 이슈를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동향) 2024년중 일본 경제는 소득환경 개선에 따른 민간소비 회복 등으로 완만한 성장세를 시현 - 민간소비는 높은
eiec.kdi.re.kr
할아버지의 조언
할아버지는 손주들의 손을 꼭 잡으며 말씀하셨다.
"민수, 지혜야, 꼭 기억해라."
"1. 적당한 인플레이션(연 2%)은 건강한 경제의 신호다 2. 디플레이션은 경제를 죽이는 독약이야 3. 소비를 미루면 경제 전체가 얼어붙는다 4. 일본의 30년을 우리는 반복하면 안 된다"
"할아버지, 우리나라는 괜찮아요?"
"우리나라도 조심해야 해. 저출산, 고령화, 부동산 문제... 일본과 비슷한 점이 많거든. 하지만 일본의 교훈을 배워서 더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을 거야."
오늘의 핵심 정리:
- 디플레이션 =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
- 일본 1991년 버블 붕괴 → 30년간 경제 침체
- 소비 지연 → 기업 매출 감소 → 실업 증가 → 악순환
- 2024-2025년 일본, 물가상승률 2~3%로 디플레이션 탈출 시도
- 적당한 인플레이션(2%)이 건강한 경제
관련 자료:
#경제공부 #디플레이션 #디플레이션뜻 #경제교실 #경제상식 #일본경제 #잃어버린30년 #인플레이션 #경제개념 #초보경제 #재테크기초 #부자할아버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