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부동산과 경제공부로 월 500 현금흐름을 만들어가는 '머니500연구소' 팀장입니다!

 

 

환영합니다!

부자 할아버지의 경제교실입니다.뉴스에 나오는 경제 용어, 아는 척하고 넘기셨죠? 이제 제대로 배울 시간입니다.
100일 동안 하루 5분씩, 할아버지가 손주에게 이야기하듯 쉽고 재미있게 경제 용어 100개를 정복합니다.
어렵지 않아요. 할아버지의 생생한 경험담과 함께하면 경제 공부가 즐거워집니다.
경제를 알면 돈이 보입니다. 자, 우리 함께 경제적 자유를 향해 오늘부터 시작해요!

 

4편: 은행이 주는 돈의 비밀

할아버지가 손주에게 물었다.

"얘, 은행에 돈을 맡기면 이자를 받지. 그런데 왜 은행이 우리한테 이자를 줄까?"

손주가 생각했다.

"그냥... 선한 마음?"

할아버지가 큰 웃음을 터뜨렸다.

"하하! 선한 마음이라니! 아니야, 은행도 장사하는 곳이야. 이자를 주는 게 아니라 이자로 돈을 버는 거지."

 


은행의 비즈니스 모델

할아버지가 설명했다.

"자, 생각해봐. 넌 은행에 100만 원을 저축했어. 은행이 너한테 연 2% 이자를 준다고 하자. 그럼 1년 뒤에 넌 102만 원을 받지?"

손주가 고개를 끄덕였다.

"그럼 은행은 이 100만 원으로 뭘 할까?"

손주가 생각해보고 말했다.

"어디다 두나요?"

"정확해! 은행은 너의 100만 원을 다른 사람한테 빌려줘. 예를 들어, 누군가가 대출을 신청했어. 그 사람이 집을 사기 위해 3억 원이 필요해."

"은행은 그 사람에게 3억 원을 빌려준단 말이야. 그럼 그 사람은 은행에게 얼마를 갚을까?"

손주가 깨달았다.

"아! 3억 원보다 더 많은 걸 갚나요?"

"정확해! 그 사람은 연 5%의 이자를 붙여서 갚아. 그럼?"

할아버지가 손가락으로 계산했다.

"너의 100만 원에 은행이 2% 이자를 주고, 다른 사람한테 3억 원을 빌려줄 때 5% 이자를 받지? 그럼 은행은 (5% - 2%) = 3%의 이익을 내는 거야."

손주의 눈이 반짝였다.

"오! 그럼 은행은 우리 돈으로 돈을 버는 거네요!"

"그래, 정확하게 이해했다. 이게 은행의 기본 비즈니스 모델이야."

 


이자율이란 정확히 무엇인가?

할아버지가 교과서처럼 설명했다.

"이자율은 빌린 돈에 대해 얼마만큼의 보상을 할 것인가를 나타내는 거야."

저축 이자 vs 대출 이자

"예를 들어 정리해볼까."

 

저축 이자 (은행이 너한테 주는 이자)

  • 100만 원을 저축 → 1년 뒤 102만 원 (2% 이자)
  • 은행 입장: "너의 돈을 빌려줘서 고마워" 라고 인정하는 것

 

대출 이자 (너가 은행에게 주는 이자)

  • 3억 원을 대출 → 1년 뒤 3억 1,500만 원 (5% 이자)
  • 너의 입장: "돈을 빌려줘서 고마워" 라고 인정하는 것
  •  

이자율이 올라가면 뭐가 변할까?

손주가 물었다.

"근데 뉴스에서 '기준금리가 올랐다'고 하던데, 그게 뭐예요?"

할아버지가 말했다.

"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이 정하는 기본 이자율이야. 이게 올라가면 은행들의 이자율도 다 올라가지."

 

기준금리가 올라가면

좋은 점:

  1. 저축하는 사람들이 좋아한다
    • "어? 이제 이자가 더 많이 들어오네!"
    • 100만 원을 저축했는데 이전엔 2% 받다가 이제 4%를 받음
    • 1년 뒤 104만 원을 받게 됨
  2. 현금을 보유하는 게 유리해진다
    • "굳이 위험하게 주식할 필요가 없네"
    • 안전하게 은행에 맡겨도 이자가 많네

나쁜 점:

  1. 대출금리가 올라간다
    • 집 구매 자금 대출을 받으면 더 많은 이자를 갚아야 함
    • 대출금이 3억 원이었는데 이제 5% 대신 7%를 내야 함
  2. 자영업자들이 힘들어진다
    • 사업 자금으로 대출받은 돈의 이자가 올라가니까
    • 수익이 줄어들 수 있음

기준금리가 내려가면?

반대의 상황이 생긴다.

 

좋은 점:

  1. 대출금리가 내려간다
    • 집을 사기 쉬워진다
    • 자영업자들이 사업 자금을 싸게 빌릴 수 있다

나쁜 점:

  1. 저축해봐야 이자가 거의 없다
    • 저축 이자가 0.5% 정도로 떨어짐
    • "그냥 현금 들고 있는 것과 별 차이가 없네"
  2. 사람들이 돈을 쓰거나 투자하려고 한다
    • "저축해봐야 이자도 없는데, 차라리 주식을 사자"
    • "소비를 늘리자"

저축 vs 투자

손주가 물었다.

"할아버지, 그럼 저축만 하면 되지 않아요?"

할아버지가 고개를 저었다.

"아니야, 저축의 한계가 있어."

저축의 장점

  • 안전하다
  • 이자가 꾸준히 들어온다
  • 잠을 편하게 잔다

저축의 단점

  • 이자가 너무 적다
  • 인플레이션을 따라잡지 못한다

예를 들어볼까.

"네가 은행에 1,000만 원을 저축했어. 이자율이 2%다. 1년 뒤에 1,020만 원이 되지."

"그런데 인플레이션이 3%라면? 실제 가치는 오히려 줄어든 거야. 명목상으로는 1,020만 원이 되었지만, 실제로 할 수 있는 일은 예전보다 적어진다는 뜻이야."

손주가 깨달았다.

"아! 그래서 저축만으로는 부자가 될 수 없는 거네요?"

"정확해! 저축은 방어, 투자는 공격이라고 생각해. 둘 다 필요한 거야."

 


대출의 함정

할아버지의 얼굴이 진지해졌다.

"이제 중요한 거 얘기할 시간이야. 대출의 함정 말이야."

좋은 대출 vs 나쁜 대출

좋은 대출:

  • 집을 산다 (집값은 올라가고, 이자를 내도 손해가 아님)
  • 사업을 시작한다 (사업으로 버는 돈이 이자보다 많으면 좋음)
  • 공부를 한다 (교육 대출 - 나중에 버는 돈이 많아질 수 있음)

나쁜 대출:

  • 명품을 산다 (물건 가치는 떨어지는데 이자는 계속 냄)
  • 여행을 간다 (순간의 즐거움을 위해 평생 돈을 냄)
  • 도박을 한다 (잃을 가능성이 있음)

할아버지가 엄하게 말했다.

"대출금리가 얼마인지 반드시 확인해. 10%, 20% 이자를 내고 있는데 모르는 사람들이 많아. 그러다 빚이 눈덩이처럼 불어나."

 


이자를 이용해서 돈 불리기

손주가 물었다.

"그럼 이자를 똑똑하게 활용하는 방법은?"

할아버지가 웃으며 말했다.

"좋은 질문이다. 이제 진짜 중요한 거 배울 시간이야."

 

1. 복리 (Compound Interest)

"자, 들어봐. 네가 1,000만 원을 저축했어. 이자율이 10%라고 해보자."

1년 뒤: 1,000만 원 + 100만 원 = 1,100만 원

2년 뒤: 1,100만 원 + 110만 원 = 1,210만 원

3년 뒤: 1,210만 원 + 121만 원 = 1,331만 원

"보이지? 이자가 매년 늘어나고 있어. 이게 복리야. 이자가 이자를 낳는 거지."

손주가 놀랐다.

"오! 점점 커지네요!"

"10년이면? 2,594만 원이 돼. 30년이면? 1억 7,449만 원이 된단 말이야."

할아버지가 손주의 손을 잡았다.

"이게 부자들의 비밀이야. 시간을 이용해서 돈을 불리는 거지. 시간이 오래될수록 효과가 커."

 

2. 금리가 높을 때 고정금리로 대출받기

"만약 앞으로 금리가 내려갈 거 같으면? 지금 고정금리로 대출받아. 그럼 금리가 내려가도 낮은 금리로 계속 낼 수 있어."

 

3. 금리가 낮을 때 안전자산 모으기

"금리가 낮으면 언젠가는 올라갈 거야. 그때를 기다리면서 안전자산(집, 토지)을 모으는 거지."


할아버지의 마지막 조언

할아버지가 손주의 눈을 똑바로 봤다.

"세상의 모든 부자들이 알고 있는 이자의 비밀이 있어."

  1. 이자는 너의 편이 될 수도, 적이 될 수도 있다
    • 저축할 땐 너의 편 (돈이 들어옴)
    • 대출할 땐 적 (돈이 나감)
    • 중요한 건 어느 쪽인지 아는 것
  2. 시간이 길수록 이자의 힘은 커진다
    • 20대부터 저축해봐. 30년 뒤엔 엄청난 부자가 될 거야
    • 반대로 20대부터 빚지면 30년을 짊어진다는 뜻이야
  3. 금리의 흐름을 알면 부자가 된다
    • 금리가 올라갈 땐 저축을 늘려
    • 금리가 내려갈 땐 자산을 늘려

손주가 할아버지의 손을 꼭 잡았다.

"할아버지, 이제 알겠어요. 이자란 게 결국 시간의 가치를 나타내는 거네요?"

할아버지가 손주의 머리를 쓰다듬었다.

"아, 정말 잘 배웠다. 그래, 정확해. 이자는 시간의 가치야. 오늘의 돈과 내일의 돈은 다르다는 뜻이지."

 


요약: 4편에서 배운 것

 

개념 설명

 

은행 비즈니스 예금 이자 2% - 대출 이자 5% = 은행 수익 3%
기준금리 ↑ 저축 이자 ↑, 대출 이자 ↑
기준금리 ↓ 저축 이자 ↓, 대출 이자 ↓
복리 이자가 이자를 낳는 마법
좋은 대출 자산 형성(집, 사업, 교육)
나쁜 대출 소비(명품, 여행, 도박)

다음 편은 "주식의 비밀" - 주식이란 뭐고, 왜 위험할까?

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함께하세요! 😊

 

반응형
반응형